본문 바로가기
🌏 문화·사회 인사이트: 해외 사례, 사회 변화, 잡학지식

전산망 복구율 11%… 정부24·국민신문고 먹통 사태, 언제 해결되나?

by JH_모아 2025. 9. 30.
반응형

지난 2025년 9월 25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인해,
대한민국의 핵심 행정 시스템 647개 중 573개가 셧다운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29일 기준 복구율은 고작 11%대.
정부24, 국민신문고, 통합보훈, 법령정보센터 등 핵심 공공서비스는 여전히 먹통입니다.


🔥 어떤 일이 벌어졌나?

  •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전산실 전력 시스템 손상
  • 96개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전소, 대구 민간 클라우드로 이관 중
  • 복구 완료까지 최소 4주 이상 소요 예상
  • 현재 복구된 시스템은 73개뿐 (전체의 11.3%)

🛑 국민 불편은 어디까지 확산됐나?

  • 정부24 주민등록 등본 발급, 일부만 가능
  • 국민신문고, 법령정보센터, 보훈처 시스템 등은 완전 중단
  • 공공마이데이터 기반 대출, 카드 바우처 신청 중단
  • 우체국 택배·예금·보험 업무 지연 또는 마비
  • 제주공항서 신분 확인 실패로 항공기 탑승 거부 사례도
  • 소방신고 대응 지연 (주소 위치 정보 오류)

❗ 디지털정부의 민낯 드러난 이유는?

📍 재난 백업센터 18년째 미완공

충남 공주에 지어지고 있는 재난 복구 전용 데이터센터,
2008년 계획했지만 2025년 현재까지 18년째 개소 못 함.

“예산 부족과 사업 지연이 가장 큰 원인”
“액티브-액티브 이중화 시스템만 있었다면 피해는 훨씬 줄었을 것”


🏛️ 정치권 책임 공방만… 해결책은?

  • 국민의힘 “정부의 허술한 관리가 화 불러왔다”
  • 민주당 “이전 정부의 배터리 방치와 인재”
  • 윤 대통령, “국민께 송구… 민생 시스템 복구에 총력” 공식 사과

✅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

불편 상황임시 대응 방법
정부24 오류 주민센터 방문, 우편 발급 요청
국민신문고 민원 전화 민원접수(국번없이 110)
공공기관 인증·신청 한시적 수수료 면제 및 기한 연장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오프라인 방문 또는 추후 신청 대기
전산 기반 서비스 중단 각 기관 콜센터 활용 (민원 안내 중 확대 운영 중)

💬 정리하며

이번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는 단순 시스템 장애가 아닙니다.
디지털정부 인프라의 근본적 리스크를 드러낸 사건이자,
민원 대란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경고 신호입니다.

지금은 정부의 빠른 복구뿐 아니라,
“백업체계 재정비, 데이터센터 이중화, 재난관리 시스템 재구축”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