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상금 계좌는 왜 필요한가요?
재무 계획에서 종종 간과되는 것이 바로 비상금입니다. 하지만 비상금이 없는 상태에서 실직, 질병, 수리비, 병원비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생기면 투자한 자산을 급히 인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재무 전체 구조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비상금 계좌는 재무 안전망이며, 모든 재테크의 출발점입니다.
2. 비상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비상금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월평균 생활비 × 3개월
- 가족 구성원 있음: 월평균 생활비 × 6개월
예를 들어 월 생활비가 150만 원이라면, 최소 450만 원~900만 원을 목표로 비상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3. 비상금 계좌는 따로 운영해야 하는 이유
비상금을 일반 통장에 섞어 두면, 사용 목적이 명확하지 않아 결국 소비에 섞여 사라질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별도 계좌를 만들도록 하세요:
- 체크카드/자동이체 연결 없음
- 출금이 어렵거나 불편한 앱 사용 (예: CMA, 적립예금 등)
- 비정기 입금 방식 유지 → 계획된 금액만 넣기
이런 방식으로 비상금 계좌를 설정하면 손을 대기 어려워지고, 자연스럽게 지켜지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4. 비상금 계좌에 적합한 금융 상품 3가지
- 1) CMA 통장 (예: 한국투자, 신한금투 CMA) 👉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고, 출금도 쉬움
- 2) 정기적립 예금 👉 매달 소액 자동이체로 목표 금액까지 천천히 쌓기
- 3) 일반 보통예금 통장 (별도 개설) 👉 급전 사용 시 접근성 확보, 단 지출과 혼용되지 않도록 분리 운영
중요한 점은 수익보다 접근성과 안전성입니다. 투자 상품은 비상금 용도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5. 비상금을 만들기 위한 실천 루틴
비상금도 한 번에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자동화와 루틴화가 필수입니다.
- 월급일 다음 날 → 비상금 통장에 10만 원 자동이체
- 보너스, 용돈, 환급금의 30%는 비상금으로 분리
- 급여 인상 시 50%는 비상금 증가분으로 설정
이런 습관을 만들면 1년 안에 자연스럽게 300~500만 원 규모의 안정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6. 비상금은 사용 후에도 다시 복구해야 합니다
비상금은 '한 번 마련하고 끝'이 아니라, 사용 후 반드시 복구해야 할 자금입니다. 실제로 비상 상황에서 돈을 사용했을 경우, 이후 몇 달에 걸쳐 복원 계획을 세워야 재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 60만 원 사용 → 3개월간 월 20만 원씩 복구 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