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랑스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까지. 높은 소득이 존재하지만 **“부자가 되기 힘든 현실”**에 고뇌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프랑스의 “Nicolas qui paie” (니콜라가 부담한다), 미국의 HENRY (High Earner, Not Rich Yet), 그리고 한국인의 감정까지 살펴보며 깊이 들여다봅니다.
프랑스: “니콜라가 부담한다” – 중산층의 분노를 상징
- “Nicolas qui paie(니콜라가 부담한다)”는 온라인 밈은 중산층 직장인들이 과도한 세 부담에 지쳐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프랑스에서는 **"삼촌과 베르나르"**라는 연금 수령자들과 이민자 복지, 원조 지출 등을 자신의 세금으로 감당해야 한다는 분노가 표현된 상징적인 캐릭터입니다 Equifax+15POLITICO+15NerdWallet+15. - 정치권에서도 이 표현은 회자되며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일부 의원은 실제 국회 발언에서 **“매달 니콜라가 낸다”**고 비유하며 세금 부담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Le Monde.fr.
미국: HENRY – 고소득이지만 부자가 아닌 현실
- HENRY는 'High Earner, Not Rich Yet'의 약자로, 연간 수입 $250K~$500K의 고소득이지만 자산 축적은 부족한 이들을 부릅니다 Bloomberg.com+13Investopedia+13RCS Financial Planning+13.
- Gen Z HENRYs의 경우, 연소득 평균 $565K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임대 생활, 기대 이하의 자산 증가를 경험한다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Equifax+5Business Insider+5Investopedia+5.
- 전문가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재정 계획, 지출 통제, 자동 저축, 세금 전략 등의 조언을 강조합니다 Kiplinger월스트리트저널.
한국: 헬리(High Earner, Not Rich Yet) 감정 공감
- 많은 30~40대 직장인들은 높은 연봉에도 불구하고 자산은 부족한 현실을 경험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최근 한국 사회에서도 고소득자에게도 '부자의 길'은 여전히 멀다는 공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불평등은 줄어들고 있으나 자산 불평등은 여전히 존재하며, 소득만으로는 상위 부자로 올라가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Equifax+5월스트리트저널+5ProjectionLab+5.
요약
- 프랑스: 중산층이 국가 복지 시스템을 감당하는 캐릭터로 '니콜라' 등장 (Nicolas qui paie)
- 미국: HENRY는 고소득이지만 부자가 아닌 이들을 의미하며, 재정 압박 속 자산 축적의 어려움 존재
- 한국: 연봉이 높아도 자산 자립이 어려운 청년·중산층들의 현실적 좌절과 공감
반응형